조직학(Histology)은 현대의학에서 매우 필수적이며 기초적인 학문분야이다. 조직학을 배우지 않으
면 학생들은 사람의 몸을 제대로 이해할 수 없고 병원에서는 질병을 진단하는데 곤란을 겪게 되며 각종
과학연구에 있어서도 필수적인 연구기법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의학과 생물학을
배우고자 하는 사람에게 있어 조직학은 가장 바닥에 든든히 놓여야 하는 기초공사에 해당하는 것이다.
하지만 조직학이란 분야는 그 내용을 제대로 이해하는데 있어 학문적 진입장벽이 꽤 높다는 것이 문
제이기도 하다.
조직학을 제대로 이해하는 능력은 오랜 세월 동안 훈련을 거치면서 점차 형성되기 때문
에 이러한 과정이 생략된 초심자들은 조직학을 처음 배울 때 큰 곤란을 겪는다. 조직학을 가르쳐야 하
는 교수의 입장에서 이러한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을 위해 안내서가 필요하다는 생각을 항상 해왔다. 하
지만 사실 조직학은 강의자에게 있어서도 수업에서 다루기 쉽지 않은 분야이다. 초심자들을 대상으로
아무리 쉽게 풀어 이야기하더라도 기본적으로 학습자 지식의 수준이 미비하면 정확한 이해가 곤란한
내용이 많기 때문이다.
이 책은 이런 점을 고려하여 사람 몸을 구성하는 조직의 미세구조를 이해하고자 하는 초심자에게 길
잡이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기획한 책이다. 조직학의 전체 내용을 소주제로 나누어 사진과 함께 되도록
쉽게 설명하고자 하였고, 초보자의 입장에서 다루기 어려운 난해한 주제는 과감히 생략하여 후일을 기
약하였다. 이 책은 원칙적으로 의학을 공부하는 이들을 위한 조직학 입문서 역할을 기대하며 집필했지
만 생물학과 간호학 등 다른 분야 전공자들에게도 조직학에 대한 기본적 개념을 익히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해 본다.
끝으로 당부하고 싶은 것은 이 책은 어디까지나 조직학을 본격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개설서라는 점
을 독자는 잊지 말아 주기를 부탁하고 싶다. 사람조직학이 다루는 내용은 매우 넓고 깊어서 이 책 한권
으로 모두 이해하기란 불가능한 까닭이다. 또 한가지 아무리 쉽게 설명하고자 하더라도 해부학을 전혀
모르는 상태에서 이 책을 본다면 그 내용을 이해하는데 여전히 곤란을 겪을 것이다. 따라서 사람 해부
학에 대한 기본적 이해가 전혀 없는 독자들은 이에 대한 최소한의 예습을 먼저 해 둔 다음 이 책을 공
부해야 기대했던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모쪼록 이 책이 조직학의 성공적인 입문과정을
기대하는 젊은 학생들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될 수 있다면 우리에게 큰 기쁨이 되겠다.
저자 일동
1. 조직학이란 무엇인가?................................................. 2
2. 현미경에 대하여 ............................................................. 4
3. 조직 표본 ............................................................................ 6
4. H&E 염색법 ....................................................................... 8
5. 전자현미경 .......................................................................10
6. 핵과 염색질 .....................................................................12
7. 세포질과 소기관 ...........................................................14
8. 세포분열 ...........................................................................16
9. 세포의 분화 .....................................................................18
10. 상피 조직이란? ...........................................................20
11. 피부의 상피 조직 .........................................................22
12. 피부표피의 다섯 층 ....................................................24
13. 소화관의 점막상피 조직 .........................................26
14. 호흡기관의 상피조직 .................................................28
15. 침샘관의 상피 조직 ....................................................30
16. 분비샘이란? ....................................................................34
17. 단세포샘 ...........................................................................36
18. 샘꽈리샘 ...........................................................................40
19. 관상샘 ................................................................................44
20. 결합조직 ...........................................................................46
21. 결합조직섬유 ..................................................................50
22. 피부와 점막의 결합조직 ...........................................54
23. 지방세포 ...........................................................................58
24. 힘줄과 인대 .....................................................................62
25. 뼈의 세로 절단 단면...................................................64
26. 뼈의 가로 절단 단면...................................................66
27. 연골 .....................................................................................68
28. 골격근 ................................................................................72
29. 근육의 가로무늬 ...........................................................76
30. 평활근 ................................................................................78
31. 심장근 ................................................................................80
32. 혈액세포 ...........................................................................82
33. 혈액세포: 과립구 .........................................................84
34. 림프구와 혈소판 ...........................................................86
35. 신경계 ................................................................................88
36. 대뇌피질과 신경세포 .................................................90
37. 백색질 ................................................................................94
38. 수초의 기원과 형성 ....................................................98
39. 별아교세포 ....................................................................102
40. 기타 신경아교세포 ...................................................106
41. 소뇌 ..................................................................................110
42. 숨뇌 ..................................................................................114
43. 척수 ..................................................................................116
44. 말초신경 ........................................................................120
45. 신경절 .............................................................................122
46. 운동종말판 ....................................................................126
47. 순환계통 ........................................................................128
48. 대동맥 .............................................................................130
49. 중간크기 동맥과 세동맥 ........................................132
50. 모세혈관과 동굴모세혈관 .....................................136
51. 소화계통 ........................................................................138
52. 치아 ..................................................................................140
53. 구강점막 ........................................................................144
54. 침샘 ..................................................................................148
55. 식도 ..................................................................................150
56. 식도와 위의 경계 ......................................................152
57. 위벽의 구조 ..................................................................154
58. 위샘의 세포 ..................................................................158
59. 소장 ..................................................................................160
60. 결장 ..................................................................................162
61. 간 .......................................................................................166
62. 호흡계통 ........................................................................170
63. 기관 ..................................................................................172
64. 호흡기질환과 장점액샘 ..........................................176
65. 폐포 ..................................................................................178
66. 생식계통 ........................................................................180
67. 고환 ..................................................................................182
68. 정관 ..................................................................................184
69. 난소 ..................................................................................186
70. 자궁 ..................................................................................190
71. 난관 ..................................................................................194
72. 태반 ..................................................................................196
73. 탯줄 ..................................................................................198
74. 내분비샘 ........................................................................200
75. 갑상샘 .............................................................................202
76. 뇌하수체 ........................................................................204
77. 상피 조직이란? ........................................................206
78. 췌장 ..................................................................................208
79. 비뇨계통 ........................................................................210
80. 콩팥 ..................................................................................212
81. 방광 ..................................................................................216
82. 요관 ..................................................................................218
83. 림프계통 ........................................................................220
84. 구개편도 ........................................................................222
85. 충수돌기 ........................................................................224
86. 비장 ..................................................................................226
87. 가슴샘 .............................................................................228
88. 특수감각기관 ...............................................................230
89. 망막 ..................................................................................232
90. 각막과 시신경 .............................................................236
91. 내이 ..................................................................................238
상품문의가 없습니다.
등록된 상품이 없습니다.
주문하신 책과 다른 책이 잘못 배송되었거나 배송된 도서가 파본인 경우, 도서를 아래의 두가지 방법 중 하나를 선택하여 반송해 주시면 됩니다.
택배 또는 우편등기를 통한 반송 오발송이나 파본된 책에 대한 내용을 고객센터(033-745-8879)나 반품 및 교환 문의를 통해 알려 주시고,
오발송/파본 도서를 보내주시면 확인 후 택배 또는 우편으로 원래 주문하신 정상적인 책을 보내드립니다.
* 반송할 주소 : 강원도 원주시 판부면 매봉길 30-14 1층 의방서원
반송하실 때, 파본 도서의 경우 인쇄되지 않은 페이지나, 중복된 페이지, 찢어진 부분 등 구체적인 파본 부분을 포스트잇이나 메모지에 적어 표시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또한 주문번호를 같이 기재해 주시면 주문자 확인 등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환불이나 교환 등의 사후처리를 보다 빨리 할 수 있습니다.
물론, 반송비용과 재발송 비용은 본사에서 부담합니다.
책을 보내실 때 주문번호와 함께 환불해 드릴 계좌번호를 써서 보내주십시오.
의방서원 회원 약관 및 소비자 보호원 및 공정거래위원회 규정 표준 약관에 근거해 환불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다른 상품과 달리 도서는 상품 외형의 가치보다는 그 속에 담겨 있는 내용에 가치가 있는 것이기 때문에 반품가능 기간이 정해져 있습니다.
반품을 원하시는 도서는 받으신지 5일 이내에 등기우편을 통해 저희 회사로 보내주십시오.
단, 오발송이나 파본된 도서가 아닌 경우에는 배송 비용은 회원님께서 부담하셔야 합니다. 환불시 배송비용을 제외하고 난 후 송금해 드립니다.
이렇게 보내주신 책은 저희 반송 담당자의 확인을 거친 후 환불 처리되게 됩니다. 구체적인 반품 과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전화 033-745-8879 연락 후
반품/교환 문의를 통해 반품하실 도서명을 저희에게 알려 주신 후 등기우편으로 보내주시면 됩니다.
2. 반품하실 주소는 위의 반송 주소와 동일합니다.
3. 보내실 때 반품 도서의 주문번호와 환불해 드릴 계좌번호를 메모지에 적어 함께 넣어주시기 바랍니다.
이러한 메모가 있는 경우에 보다 신속하게 반품 처리가 될 수 있습니다.
무통장 입금계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