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학에서는 1977년 경희대에서 내과를 5장6부의 유기능 체계에 맞추어 5개 내과(간계, 심계, 비계, 폐계, 신계)로 분류한 이후로, 현재의 12개 한의과대학 및 한의학전문대학원에서 연구와 교육, 진료에 이 틀을 중심으로 운용하고 있다.
그 중 심계내과는 한의학적인 혈육지심血肉之心을 심혈관 순환계통의 질환으로 연계하고, 신명지심神明之心을 뇌와 신경계통의 질환으로 연계하여 임상 적용을
하고 있다. 여기에 일부 타 과와의 업무조절을 더하여 혈액질환을 간계내과로, 정신질환을 신경정신과로 이관하고, 심혈관순환계의 발병원인으로 뇌와 신경계통에 증상이 발생한 뇌혈관 사고cerebrovascular accident를 중풍으로 이해하여 심계내과로 이관하는 등, 환자위주의 상식을 중심으로 한의학과 양의학을 적절히 연계하고 구분하여, 서로 전문화된 진료영역과 연구, 교육을 하고 있다. 이런 세부 전공이나 분류는 시대와 사회 여건에 따라 계속 진화하여 오고 있다. 그러나 한의학의 기본정신이, 세세한 질병은 전문과목으로 교육하는 것이 현실적인 편리함은 있지만, 역시 전일한 인간은 유기능적이고 통합적으로 임상에 접근해야 함을 잊어서는 안된다고 할 수 있다.
이번 교과서의 특징은 3권으로 나누어 완성했다는 점이다. 과거 1995년의 1판에서도 상, 하 2권으로 만들었었는데, 5판도 3권으로 만든 필요성과 현실이 있었다. 즉 한국의 한의사가 순환신경학이라는 심계내과학을 학습할 때, 한국, 중국, 일본의 각각의 전통의학을 반드시 상호 고찰할 필요가 있고, 더욱이 국제(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를 의무적으로 사용해야 하는 현실 상황에서는 서양의학 위주의 양방이라는 이름이 더 이상은 남의 학문이 아닌 한의학으로 통합되어야 할 시대적 필요성이 대두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총 3권 중 1권은 순환신경내과학의 총론과 증후를 기술하고, 2권은 심혈관계의 질환을 설명위주로 기술하고, 3권은 신경계의 질환을 정리위주로 기술하였으며, 각 내용에서는 한국의 한의학을 중심으로 중국의 중의학과 일본의 한방의학을 참조로 하였고, 양방에 대해서는 일본의 저명서적을 근간으로 하였으니, 이는 한국, 중국, 일본의 한방, 양방을 통섭하여 보려는 의지라고도 할 수 있겠다. 3권을 서로 연계하는 강의와 학습을 통하여 기초부터 임상까지, 한방부터 양방까지, 한국부터 중국, 일본까지 이해를 통한 교육과 연구와 진료에 불편함이 없도록 하고자 하였다.
심계내과의 체계를 이렇게 3권으로 분책하여 연계 교육을 시도함에 있어, 기대하는 바와 달리 일부 걱정스럽고 불만스러운 것이 눈에 띄는 것 또한 사실이다. 서술의 흐름상 중복되는 부분이 있고, 임상과목임에도 불구하고 기초과목이나 타 과목의 내용이 많은 분량 들어있는 점도 발견된다. 동의보감 위주의 한의학과, 획일적인 이론정립의 중의학, 탕증 운용을 기본으로 하는 일본 한의학(漢方醫學, 캄포 메디신)의 상호 독자적인 경향을 어느 정도는 인정할 수밖에 없고, 또 한의학과 양의학 모두에서 동양 3국의 용어의 사용과 그 의미의 통일이 아직 완벽하지도 않고, 서양의학적인 소개와 연결 및 통일된 용어선택 등이 쉽지만은 않은 현실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한국, 중국, 일본의 개성과 한방, 양방의 체계가 약간씩 상호 혼재되어 선명한 분책의 효과를 감소시키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이런 의도와 희망, 또는 한계와 현실을 망라하여 향후 보다 체계적이며 완벽한 교과서로 개정해야 하겠다는 각오 또한 새롭게 느끼고 있다.
이번 교과서 개정을 위해 수고하여 주신 심계내과 교수님들에게 감사를 드립니다.
또한 여러모로 지원을 해준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의임상정보서비스 팀 등 관계자 분들에게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어려운 편제의 교과서를 기꺼이 맡아서 좋은 책으로 만들어 주신 우리의학서적에도 감사드립니다.
2016년 8월
전국한의과대학 심계내과학교실 ‘한방 순환·신경내과학 I, II, III’ 저자 일동
<머리말>
한의학에서는 1977년 경희대에서 내과를 5장6부의 유기능 체계에 맞추어 5개 내과(간계, 심계, 비계, 폐계, 신계)로 분류한 이후로, 현재의 12개 한의과대학 및 한의학전문대학원에서 연구와 교육, 진료에 이 틀을 중심으로 운용하고 있다.
그 중 심계내과는 한의학적인 혈육지심血肉之心을 심혈관 순환계통의 질환으로 연계하고, 신명지심神明之心을 뇌와 신경계통의 질환으로 연계하여 임상 적용을
하고 있다. 여기에 일부 타 과와의 업무조절을 더하여 혈액질환을 간계내과로, 정신질환을 신경정신과로 이관하고, 심혈관순환계의 발병원인으로 뇌와 신경계통에 증상이 발생한 뇌혈관 사고cerebrovascular accident를 중풍으로 이해하여 심계내과로 이관하는 등, 환자위주의 상식을 중심으로 한의학과 양의학을 적절히 연계하고 구분하여, 서로 전문화된 진료영역과 연구, 교육을 하고 있다. 이런 세부 전공이나 분류는 시대와 사회 여건에 따라 계속 진화하여 오고 있다. 그러나 한의학의 기본정신이, 세세한 질병은 전문과목으로 교육하는 것이 현실적인 편리함은 있지만, 역시 전일한 인간은 유기능적이고 통합적으로 임상에 접근해야 함을 잊어서는 안된다고 할 수 있다.
이번 교과서의 특징은 3권으로 나누어 완성했다는 점이다. 과거 1995년의 1판에서도 상, 하 2권으로 만들었었는데, 5판도 3권으로 만든 필요성과 현실이 있었다. 즉 한국의 한의사가 순환신경학이라는 심계내과학을 학습할 때, 한국, 중국, 일본의 각각의 전통의학을 반드시 상호 고찰할 필요가 있고, 더욱이 국제(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를 의무적으로 사용해야 하는 현실 상황에서는 서양의학 위주의 양방이라는 이름이 더 이상은 남의 학문이 아닌 한의학으로 통합되어야 할 시대적 필요성이 대두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총 3권 중 1권은 순환신경내과학의 총론과 증후를 기술하고, 2권은 심혈관계의 질환을 설명위주로 기술하고, 3권은 신경계의 질환을 정리위주로 기술하였으며, 각 내용에서는 한국의 한의학을 중심으로 중국의 중의학과 일본의 한방의학을 참조로 하였고, 양방에 대해서는 일본의 저명서적을 근간으로 하였으니, 이는 한국, 중국, 일본의 한방, 양방을 통섭하여 보려는 의지라고도 할 수 있겠다. 3권을 서로 연계하는 강의와 학습을 통하여 기초부터 임상까지, 한방부터 양방까지, 한국부터 중국, 일본까지 이해를 통한 교육과 연구와 진료에 불편함이 없도록 하고자 하였다.
심계내과의 체계를 이렇게 3권으로 분책하여 연계 교육을 시도함에 있어, 기대하는 바와 달리 일부 걱정스럽고 불만스러운 것이 눈에 띄는 것 또한 사실이다. 서술의 흐름상 중복되는 부분이 있고, 임상과목임에도 불구하고 기초과목이나 타 과목의 내용이 많은 분량 들어있는 점도 발견된다. 동의보감 위주의 한의학과, 획일적인 이론정립의 중의학, 탕증 운용을 기본으로 하는 일본 한의학(漢方醫學, 캄포 메디신)의 상호 독자적인 경향을 어느 정도는 인정할 수밖에 없고, 또 한의학과 양의학 모두에서 동양 3국의 용어의 사용과 그 의미의 통일이 아직 완벽하지도 않고, 서양의학적인 소개와 연결 및 통일된 용어선택 등이 쉽지만은 않은 현실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한국, 중국, 일본의 개성과 한방, 양방의 체계가 약간씩 상호 혼재되어 선명한 분책의 효과를 감소시키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이런 의도와 희망, 또는 한계와 현실을 망라하여 향후 보다 체계적이며 완벽한 교과서로 개정해야 하겠다는 각오 또한 새롭게 느끼고 있다.
이번 교과서 개정을 위해 수고하여 주신 심계내과 교수님들에게 감사를 드립니다.
또한 여러모로 지원을 해준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의임상정보서비스 팀 등 관계자 분들에게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어려운 편제의 교과서를 기꺼이 맡아서 좋은 책으로 만들어 주신 우리의학서적에도 감사드립니다.
2016년 8월
전국한의과대학 심계내과학교실 ‘한방 순환·신경내과학 I, II, III’ 저자 일동
<목차>
제1절 한방 순환·신경내과학의 개요
제2절 순환·신경내과학의 증상
1. 개요27
2. 심혈관계의 증상27
3. 의식과 정신상태29
4. 감각장애 34
5. 운동마비40
6. 이상운동45
7. 운동실조45
8. 맥45
제3절 순환·신경내과학의 진단
1. 개요53
2. 주소증과 관련 병력 조사53
3. 체계적 관찰54
4. 신체 검사55
5. 의식상태의 검사 55
6. 고위대뇌기능 평가56
7. 뇌신경 검사57
8. 상지의 검사77
9. 기립 자세의 검사83
10. 하지의 검사85
11. 감각 검사90
12. 반사93
13. 수막자극징후 검사100
제4절 순환·신경내과학의 검사
1. 피부전기자율반응101
2. 양도락102
3. 적외선 체열검사102
4. 기립경사 검사103
5. 혈압계와 24시간 혈압계103
6. 심전도103
7. 심박변이도105
8. 맥파전달속도 검사108
9. 운동부하검사108
10. 심도자 검사 / 심혈관조영술108
11. 심전기 생리 검사 108
12. 단순방사선촬영109
13. 전산화 단층촬영109
14. 자기공명영상111
15. 혈관조영술113
16. 초음파113
17. 핵의학검사115
18. 뇌파116
19. 유발전위검사법116
20. 요추천자116
21. 근전도 및 신경전달속도 검사법
117
제5절 胸痛
1. 개요119
2. 역대제가설120
3. 병인병리129
4. 치료129
5. 유사증후감별131
6. 조리 및 예방131
7. 예후132
8. 흉통을 일으키는 질환과 임상연구 132
제6절 驚悸·怔忡
1. 개요137
2. 역대제가설137
3. 병인병리140
4. 치료140
5. 유사증후감별142
6. 조리 및 예방142
7. 예후143
8. 두근거림 관련 질환 및 임상연구 143
제7절 浮腫
1. 개요145
2. 역대제가설145
3. 병인병리147
4. 치료148
5. 유사증후 감별149
6. 조리 및 예방149
7. 예후149
8. 부종을 일으키는 질환과 임상연구 149
제8절 喘證
1. 개요153
2. 역대제가설153
3. 병인병리155
4. 치료156
5. 유사증후감별160
6. 조리 및 예방160
7. 예후160
8. 천증 관련 질환과 임상연구161
제9절 血證
1. 개요163
2. 역대제가설163
3. 병인병리165
4. 치료166
5. 조리 및 예방172
6. 예후173
7. 혈증 관련 질환과 임상연구173
제10절 瘀血
1. 개요175
2. 역대제가설175
3. 병인 및 병리177
4. 진단177
5. 치료179
6. 조리 및 예방181
7. 예후181
8. 어혈 관련 질환과 임상연구182
제11절 火熱證
1. 火의 개념185
2. 역대제가설186
3. 화열의 병인 병리187
4. 火熱證의 치료법189
5. 조리 및 예방196
6. 예후196
7. 화열 관련 질환 및 임상 연구196
제12절 頭痛
1. 개요 201
2. 역대제가설201
3. 병인병리205
4. 치료206
5. 유사증후 감별209
6. 조리 및 예방210
7. 예후210
8. 두통 관련 질환 및 임상연구211
제13절 眩暈
1. 개요219
2. 역대 제가설219
3. 병인병리222
4. 치료223
5. 유사증후 감별224
6. 조리 및 예방224
7. 예후224
8. 현훈의 관련 질환 및 임상연구 225
제14절 中風
1. 개요243
2. 역대제가설244
3. 병인병리248
4. 치료249
5. 유사증후 감별253
6. 조리 및 예방255
7. 예후259
8. 중풍 관련 질환과 임상연구259
제15절 痺證과 麻木
1. 痺證273
2. 麻木280
3. 痺證 및 麻木 관련 질환 및 임상 연구282
제16절 痿證
1. 개요285
2. 역대제가설286
3. 병인·병리287
4. 치료288
5. 유사증후 감별289
6. 조리 및 예방290
7. 예후290
8. 痿證 관련질환과 임상연구290
제17절 振顫
1. 개요293
2. 역대제가설293
3. 병인병리295
4. 치료295
5. 유사증후감별296
6. 조리 및 예방296
7. 예후297
8. 진전의 관련 질환 및 임상연구297
제18절 厥證
1. 개요304
2. 역대제가설304
3. 병인병리304
4. 치료305
5. 유사증후 감별306
6. 조리 및 예방306
7. 예후306
8. 厥證 관련 질환과 임상연구307
제19절 痴呆
1. 개요311
2. 역대제가설311
3. 병인병리315
4. 치료315
5. 유사증후 감별316
6. 조리 및 예방316
7. 예후317
8. 치매의 관련 질환 및 임상연구317
처방색인 ● 321
낱말색인 ● 333
------------------------------------------------------------------------------------
한방순환·신경내과학 II - 순환기편
저자 KOMURO Issei
역자전국한의과대학 심계내과학 교수협의회
ISBN 979-11-85658-20-9
정가 40,000원
<저자 머리말>
순환기 질환에는 다른 질환에 없는 몇 가지 특징이 있는데, 여기서는 특히 3가지를 강조하고 싶습니다. 우선 첫 번째로순환기 질환 환자 수는 매우 많고, 그 종류도 매우 다양하다는 점입니다. 일본에서 3,500만 명 정도가 고혈압, 동맥경화를 원인으로 하는 협심증·대동맥류·폐색성동맥경화증, 감염증 또는 그 결과 생기는 감염심내막염·류마티스판막증, 유전자 변이로 일어나는 심근병이나 선천성심질환, 심장의 특이적인 질환인 부정맥과 심부전, 또한 응급질환의 대표격인 심근경색·돌연사 등을 앓고 있을 정도로, 순환기 질환은 다방면에 걸쳐 있습니다.
두 번째 특징은 진단학이 고도로 발전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청진은 순환기의사를 존재하게 해 준다 라고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입니다만, 순환기 질환의 진단에는 이학적 소견 이외에 심전도·흉부X선, 운동부하심전도, 24시간심전도, 초음파, CT, MRI, PET, RI, 심장도자 등 많은 특수검사가 이루어집니다. 따라서 이런 검사법의 의의와 판독법을 공부해야 합니다.
세 번째 순환기 질환의 특징은 치료법이 발달되어 가고 있다는 것입니다. 순환기 질환에 있어서 약물요법은 생명 예후도 개선할 수 있을 만큼 크게 유효합니다. 따라서 그만큼 약의 종류도 많고 효과적인 사용이 중요합니다. 또 PTCA, ablation과 같은 중재술 치료도 발전하고 있고, 의사의 역량에 따라 치료에 큰 차이가 나는 경우가 많은 것도 순환기 질환의 특징입니다.
이와 같이 순환기학은 배워야 할 것이 많고, 학생에게는 대단히 중요한 과목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저는 본서를 제작하면서 2개의 코너를 만들 것을 제안했습니다. 그 중 하나가 임상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기초적 지식을 기재한 “Basic Point”입니다. 서두에 심장병학의 대가인 Starling의 말을 올려 놓았습니다만, 꼭 현상 속에 있는 본질을 이론적으로 기억해 주십시오. 이론적으로 기억해 두면 혹시 일단 잊어버려도 바르게 생각해 내는 것이 가능합니다. 또 진료할 때에도 “왜”라는 의문을 항상 가져 주었으면 좋겠습니다. 고학년생을 가르치다 보면,저학년 때에 배운 기초가 제대로 잘 활용되지 않는다는 것을 통감하곤 합니다. 또한 흥미 있는 분들은 이전에 배운 생리나 약리, 생화학 교과서를 다시 보고 하버드대학의 학생들이 중심이 되어 만든 “PATHOPHYSIOLOGY OF HEART DISEASE”(WILLIAM & WILKINS)를 읽어 주십시오. 다음으로, 또 하나 제안한 것이 “Level up View”입니다. 본서는 「모델·코어·커리큘럼」과 일본의 「의사국가출제기준」을 참고로 작성되어 있는데, 이것들과 실제진료를 하는 우리들의 지식에서는 큰 간격이 있습니다. 예를 들면, 「비대심근병의 원인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몇 명의 학생이나 대답할 수 있을까요? 비대심근병이 “근육원섬유마디병”이라는 것은 지금이야 상식이고, 최초로 미오신의 변이가
본서가 단지 국가시험합격을 위한 것만이 아니라 모든 사람의 학습동기를높이고 보다 좋은 진료에 일조가 된다면 편자로서 망외의 기쁨이겠습니다.
치바(千葉)대학대학원 의학연구원 순환병태의과학 교수
小室 一成
I. 순환기를 깊이 알기 위한 기본강의
심장의 구조 2
혈관의 구조8
심장의 흥분수축과 펌프기능 16
혈관의 기능과 병리24
증 후
흉통 32
호흡곤란 44
부종 50
청색증 54
실신, 의식장애 58
신체소견
전신 진찰의 포인트 64
혈압과 맥박 68
심장 박동(심박곡선기록법) 72
심장의 청진 78
두경부 진찰 88
흉부·폐영역의 진찰 94
복부 진찰 98
사지 진찰 102
흉부 X-ray 106
심전도 110
심초음파 116
심도자 검사 120
핵의학, CT, MRI 126
II. 순환기질환을 깊이 공부하자
협심증 134
심근경색 146
심부전의 병태생리 156
심부전의 진단, 분류와 중증도 평가 162
급성 심부전의 진단과 치료 168
만성 심부전의 진단과 치료 176
심인성 쇼크 184
부정맥의 병태생리 188
항부정맥제의 약리 194
빈맥성부정맥
심실상빈맥 204
심방조동 208
심방세동 212
심실빈맥 216
심실세동 220
조기흥분증후군 226
서맥성부정맥
동기능부전증후군 232
방실차단 236
각차단 240
승모판협착 244
승모판폐쇄부전 248
승모판탈출 증후군 252
대동맥판협착 256
대동맥판폐쇄부전 264
그 외의 판막증 270
삼첨판협착 _ 270
심실중격결손 274
심방중격결손 280
동맥관개존 288
팔로네징후 292
폐동맥판협착 296
기타 선천성 심질환 300
확장심근병 312
비대심근병 316
기타 심근병 322
제한심근병(RCM) _ 322
부정맥 유발 우심실 심근병(ARVC) _ 324
심근염(Myocarditis) 326
심막질환 330
대동맥류 340
대동맥염 증후군(Aortitis syndrome) 346
말초동맥질환 352
정맥질환 358
혈압 조절 366
강압제의 약리 370
본태성 고혈압 376
이차고혈압과 저혈압 386
저혈압 _ 390
신경근질환 392
결합조직질환 396
내분비대사질환 400
아밀로이드증 _ 404사르코이드증 _ 406
폐성심 408
원발성 심장종양 412
분류 _ 412
점액종 _ 412
좌심방 점액종 _ 412
기타 원발성 양성 심장종양 _ 414
원발성 악성 심장종양 _ 414
------------------------------------------------------
한방순환·신경내과학 III - 신경계 편
저자 Shoichi SASAKI
역자전국한의과대학 심계내과학 교수협의회
ISBN 979-11-85658-21-6
정가 35,000원
저자 머리말
필자는 30년 이상에 걸쳐 주로 대학에서 신경내과의 임상과 연구에 종사해 왔다. 그동안 많은 학생과 의사에게 신경내과의 최신지견을 알기 쉽게 전하고 또 흥미를 갖고 공부할 수 있도록 마음을 갈고 닦아왔다. 하나의 신경학적 사항을 조사하기 위해 이곳저곳에서 각종 참고서를 골라내는 것은 귀찮은 일이다. 가볍게 들고 다니기 용이한 한권의 책으로 신경학의 기초부터 임상까지를 커버할 수 있는 서적이 있다면 편리하겠다고 생각하여 본서의 집필을 결심했다. 단시간에 합리적으로 공부할 수 있도록 사진, 그림 및 표 등의 시각적인 교재를 많이 이용하고 간결한 기술을 보완했다. 국시나 신경전문의 시험의 참고서로서 또 신경내과나 관련 각 과의 임상의가 옆에 놓고 기초적 사항을 확인할 때의 편람으로서 가볍게 활용할 수 있게 구성했다.
이 책은 3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장 「총론」에서는 신경학 기초를, 제2장 「신경학적 진찰」에서는 실제 임상에서 필요한 신경학적 진찰의 포인트를, 제3장 「질환 각론」에서는 주된 신경질환에 대한 최신지견을 각각 콤팩트하게 정리했다. 또 알아 두었으면 하는 관련사항이나 토픽을 손가락 표시로 표기했다.
핸디하고 콤팩트한 서적을 목표로 했기 때문에, 기술이 자세하지 않고 어딘가 부족하다고 느끼는 독자도 있을지 모르겠지만 소기의 목적에 비추어 용서해 주기 바란다. 또, 본서는 단일 저서이기 때문에 각 장을 서로 유기적으로 연관성을 갖도록 기술할 수 있었다고 자부하는 반면, 단일 저서이지만 그 때문에 간과한 견해와 기술의 편향이 있을지도 모르겠다. 앞으로 여러분이 지적과 조언을 해 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다.
지금부터 30년쯤 전에 신경병리학을 공부하기 위해 뉴욕에서 유학을 했다. 그 때 몬테피오레 메디컬 센터의 히라노 아사오(平野朝雄) 교수로부터 ‘선생은 ALS의 전자현미경을 하시오’라는 말을 듣고 오늘날까지 임상과 함께 ALS의 전자현미경적 검색을 중심으로 연구를 계속해 왔다. 그 동안에 히라노 선생 부부는 언제나 따뜻한 마음으로 맞이하여 주셨고, 또 격려해 주시어 공사에 걸쳐 대단히 신세를 졌다. 이번에도 본서를 작성함에 있어 큰 지원을 받은 것에 이 자리를 빌어 다시한번 감사를 드리고 싶다. 또 동경여자의과대학 명예교수 이와타 마코토(岩田 誠) 선생님에게는 수년간 의국에서 지도를 받았다. 신경증후학을 포함한 임상신경학에 대한 조예의 깊이는 말할 것도 없이 자연과학의 틀을 넘어 널리 문화예술로 통하는 해박한 지식에 압도되었다. 이번에 천학비재인 필자가 본서를 완성할 수 있었던 것은 오로지 이와타 선생님께서 등을 밀어주셨기 때문이며 이에 깊이 감사드린다.
후지시마 히데유키(藤島英之)씨로 대표되는 의학서원의 스탭들에게는 일년 수개월에 걸친 장기간 걱정없이 정정·가필 의뢰를 드렸는데, 그때마다 흔쾌히 받아주셔서 정말로 머리가 숙여진다. 프로의식에 마음속 깊이 경의를 표하고 싶다.
마지막으로 귀중한 사진을 제공해 주시고 여러 면에서 협력해 주신 많은 선생님들의 두터운 정에 감사의 인사를 전하고 싶다.
이 책이 신경내과학을 공부하는 사람들에게 조금이라고 도움이 된다면 필자에게 큰 기쁨이 될 것이다.
2013년 1월
사사키 쇼이치(佐々木 彰ー)
<목 차>
I 총론 1 |
A 신경학 기초지식 2
1. 뇌 영상(MRI, MRA, MRV), 경추·요추·근 MRI 2
2. 뇌의 해부 12
3. 두개골저의 해부(내측면) 12
4. 경막과 수막 12
5. 뇌의 혈관 13
6. 신경조직의 개략 13
7. 신경세포의 형태와 기능 14
8. 이차적 원격효과 16
9. 혈액뇌장벽(BBB: blood-brain barrier) 16
10.혈액신경장벽(BNB: blood-nerve barrier) 17
11. 뇌척수액(CSF: cerebrospinal fluid) 17
12. 두개내압항진소견 18
B 뇌의 기능해부 19
1. 대뇌 19
2. 뇌간 23
3. 소뇌 25
4. 뇌신경 26
5. 척수 32
6. 말초신경 38
7. 자율신경 40
8. 근육 42
II 신경학적 진찰 45 |
A 신경장애의 주요 증상 46
1. 의식장애 46
2. 의식장애와 감별을 요하는 상태 46
3. 뇌사 판정기준 47
4. 고차뇌기능검사 47
5. 유전성 질환의 기초적 사항 51
6. 뇌신경 52
7. 반사 60
8. 병적 반사 (추체로병변) 60
B 운동계 이상 62
1. 추체로징후(상위운동신경원 징후) 62
2. 불수의 운동 63
3. 보행장애 65
4. 근 위축 66
5. 자세이상 66
6. 추체외로계 이상 66
C 감각계 이상 68
1. 감각이상 68
2. 말초신경성 감각장애 69
3. 척수성 감각장애 69
4. 뇌간성 감각장애 72
5. 시상성 감각장애 72
6. 대뇌피질성 감각장애 73
7. 신경통 73
D 소뇌계 이상 75
E 자율신경계 이상 77
III 질환 각론 79 |
A 뇌혈관장애 80
1. 뇌경색(Cerebral infarction) 80
2. 일과성뇌허혈발작(TIA: transient ischemic attack) 86
3. 가역성 뇌혈관 연축 증후군(RCVS: reversible cerebral vasoconstriction syndrome) 87
4. 뇌출혈(Cerebral hemorrhage) 87
5. 빈스뱅거(Binswanger)병 89
6. 항인지질항체 증후군(Anti-phospholipid antibody syndrome) 89
7. CADASIL 89
8. CARASIL 89
9. 아밀로이드혈관병증(Amyloid angiopathy) 90
10. 고혈압성 뇌증(Hypertensive encephalopathy) 90
11. 지주막하출혈(Subarachnoid hemorrhage) 90
12. 뇌동맥 해리(Arterial dissection) 91
13. 뇌동정맥기형(Arteriovenous malformation) 92
14. 내경동맥해면정맥동루(Carotid-cavernous fistula) 92
15. 만성경막하혈종(Chronic subdural hematoma) 92
16. 해면상 기형(Cavernous malformation) 93
17. 모야모야병(Moyamoya disease) 93
18. 섬유근이형성증(Fibromuscular dysplasia) 93
19. 정맥동혈전증(Sinus thrombosis) 94
20. 파브리병(Fabry disease) 95
21. 척수동정맥루(Spinal arteriovenous fistula) 95
22. 전척수동맥증후군(Anterior spinal artery syndrome) 95
23. 쇄골하동맥도류증후군(Subclavian steal syndrome) 95
B 감염증 96
1. 수막염(Meningitis) 96
2. 스피로헤타 감염증 99
3. 뇌염(Encephalitis) 100
4. 변연계 뇌염(Limbic encephalitis) 101
5. 지연성 바이러스감염(Slow virus infection) 103
6. 뇌농양(Cerebral abscess) 104
7. 비후성 경수막염(Hypertrophic pachymeningitis) 104
8. 낭미충증(Cysticercosis) 104
9. 척수염(Myelitis) 105
10. 프리온 병(Prion disease) 105
C 신경변성질환 108
1. 근위축성 측삭경화증, 운동신경원질환(ALS: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MND: Motor Neuron Desease) 108
2. 대뇌기저핵변성질환 113
3. 척수소뇌변성증(Spinocerebellar degeneration) 121
D 치매 125
1.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125
2. 레비소체형 치매(DLB: dementia with Lewy bodies) 128
3. 전두측두형 치매, 전두측두엽 변성증
(FTD: frontotemporal dementia, FTLD: frontotemporal lobar degeneration) 129
4. 은친화 과립성 치매[Argyrophilic grain disease(Argyrophilic grain dementia)] 130
5. 제17번 염색체에 연쇄하는 전두측두형 치매 파킨슨증후군
(FTLD-17: frontotemporal dementia with parkinsonism linked to chromosome 17) 130
6. 정상압수두증(NPH: normal pressure hydrocephalus) 131
7. 나스-하코라병(Nasu-Hakola disease) 131
E 기능성 질환 132
두통 132
기면증(발작수면, Narcolepsy) 133
F 뇌전증 134
G 탈수초성 질환, 백질뇌증(leukoencephalopathy) 138
1. 다발성 경화증(MS : multiple sclerosis) 138
2. 시신경척수염(NMO : neuromyelitis optica) 139
3. 동심성 경화증(Concentric sclerosis) 141
4. 급성 파종성 뇌척수염(ADEM : acute disseminated encephalomyelitis) 141
5. 중심성 교뇌 수초용해증(Central pontine myelinolysis) 141
6. 이염성 백질 이영양증(Metachromatic leukodystrophy) 141
7. 부신백질 이영양증(ALD : adrenoleukodystrophy) 141
8. 크라베병(Krabbe's disease) 142
9. 알렉산더병(Alexander's disease) 142
H 근질환 143
1. 염증성 근육병증 143
2. 근육퇴행위축(Muscular dystrophy) 144
3. 근강직 증후군(Myotonic syndrome) 146
4. 미토콘드리아 병 147
5. 후천성 대사성 근육병증 148
I 신경·근접합부 질환 150
1. 중증근무력증(MG : myasthenia gravis) 150
2. 근무력증 위기(Myasthenic crisis) 152
3. 램버트-이튼 증후군(Lambert-Eaton Myasthenic syndrome) 152
4. 소아형 중증근무력증 153
J 말초신경장애 154
1. 길랑-바레증후군(GBS : Guillain-Barrsyndrome) 154
2.만성염증성탈수초성 다발 신경병증(CIDP : chronic inflammatory demyelinating polyneuropathy) 156
3. 다발성 운동신경병증(Multifocal motor neuropathy) 157
4. 유전성운동감각성 신경병증(HMSN : hereditary motor and sensory neuropathy) 157
5. 대사성 신경병증(Metabolic neuropathy) 158
6. 암성 신경병증(Carcinomatous neuropathy) 161
7. 크로우 후카세(Crow-Fukase) 증후군(POEMS 증후군, 다카츠키병) 162
8. 소섬유 신경병증(Small fiber neuropathy) 162
9. 호산구성 다발혈관염 육아종증(Churg-Strauss syndrome) 162
10. 아급성 척수 시신경증(SMON : subacute myelo-optico-neuropathy) 162
11. 단일신경병증(Mononeuropathy) 163
12. 신경통(Neuralgia) 163
13. 압박 신경병증(Compression neuropathy) 164
K 전신성 질환에 동반되는 뇌척수병변 167
1. 가역성후두엽백질뇌증(RPLS : reversible posterior leukoencephalopathy syndrome),
(PRES : posterior reversible encephalopathy syndrome) 167
2. 저산소뇌증(Hypoxic encephalopathy) 167
3. 저혈당(Hypoglycemia) 167
4. 기저핵의 망간침착 167
5. 사르코이드증(Sarcoidosis) 167
6. 전신홍반루푸스(Systemic lupus erythematosus) 168
7. 신경 베체트병(Neuro-Behet disease) 168
8. 쇼그렌 증후군(Sjögren syndrome) 168
9. 하시모토 뇌증(Hashimoto encephalopathy) 169
10. 류머티스성 다발근통증(Polymyalgia rheumatica) 169
11. 혈관염 증후군(Vasculitis syndrome) 169
12. 포르피린증(Porphyria) 170
L 중독성 장애 171
1. 중금속 중독 171
2. 유기물질에 의한 중독 171
3. 약물중독 172
4. 그 외의 중독 172
M 신경과 금기사항 173
상품문의가 없습니다.
등록된 상품이 없습니다.
주문하신 책과 다른 책이 잘못 배송되었거나 배송된 도서가 파본인 경우, 도서를 아래의 두가지 방법 중 하나를 선택하여 반송해 주시면 됩니다.
택배 또는 우편등기를 통한 반송 오발송이나 파본된 책에 대한 내용을 고객센터(033-745-8879)나 반품 및 교환 문의를 통해 알려 주시고,
오발송/파본 도서를 보내주시면 확인 후 택배 또는 우편으로 원래 주문하신 정상적인 책을 보내드립니다.
* 반송할 주소 : 강원도 원주시 판부면 매봉길 30-14 1층 의방서원
반송하실 때, 파본 도서의 경우 인쇄되지 않은 페이지나, 중복된 페이지, 찢어진 부분 등 구체적인 파본 부분을 포스트잇이나 메모지에 적어 표시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또한 주문번호를 같이 기재해 주시면 주문자 확인 등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환불이나 교환 등의 사후처리를 보다 빨리 할 수 있습니다.
물론, 반송비용과 재발송 비용은 본사에서 부담합니다.
책을 보내실 때 주문번호와 함께 환불해 드릴 계좌번호를 써서 보내주십시오.
의방서원 회원 약관 및 소비자 보호원 및 공정거래위원회 규정 표준 약관에 근거해 환불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다른 상품과 달리 도서는 상품 외형의 가치보다는 그 속에 담겨 있는 내용에 가치가 있는 것이기 때문에 반품가능 기간이 정해져 있습니다.
반품을 원하시는 도서는 받으신지 5일 이내에 등기우편을 통해 저희 회사로 보내주십시오.
단, 오발송이나 파본된 도서가 아닌 경우에는 배송 비용은 회원님께서 부담하셔야 합니다. 환불시 배송비용을 제외하고 난 후 송금해 드립니다.
이렇게 보내주신 책은 저희 반송 담당자의 확인을 거친 후 환불 처리되게 됩니다. 구체적인 반품 과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전화 033-745-8879 연락 후
반품/교환 문의를 통해 반품하실 도서명을 저희에게 알려 주신 후 등기우편으로 보내주시면 됩니다.
2. 반품하실 주소는 위의 반송 주소와 동일합니다.
3. 보내실 때 반품 도서의 주문번호와 환불해 드릴 계좌번호를 메모지에 적어 함께 넣어주시기 바랍니다.
이러한 메모가 있는 경우에 보다 신속하게 반품 처리가 될 수 있습니다.
무통장 입금계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