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자서문
우리나라에서 작업치료사 배출의 역사로 보았을 때 지난 1980년대부터 ‘Pedretti의 작업치료학’은 지금까지 작업치료를 전공하는 학생들과 임상 작업치료사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 2000년도에 4판에 이어 오늘 8판에 이르기까지 ‘Pedretti의 작업치료’ 신체기능장애 실행기술은 작업치료를 전공하는 학생뿐만 아니라 작업치료에 관심을 갖고 있는 재활 관련 전문가들도 본 역서를 참고하고 있는 것을 보았을 때, ‘Pedretti의 작업치료학’ 번역을 맡게 된 것을 영광스럽게 생각한다.
본 역서는 그동안 작업치료에 필요한 이론과 임상실무의 지침을 갖춘 책으로서 작업치료사 국가시험을 준비하는 학생들에게는 체계적인 이론과 실무적 사례연구를 학습할 수 있는 기회를 갖는 필독서이며, 임상 작업치료사에게는 작업치료 전문성에 대해 임상실무의 변화된 작업치료 접근에 대한 이론을 증명하는 데 도움이 된다. Pedretti의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Skills for Physical Dysfunction 1, 2, 3판은 우리나라에 아직 역서가 출판되지 않았으므로 1970년대부터 원서 그대로 작업치료사 국가시험을 위한 준비서로 공부하였으며, 임상에서도 작업치료의 기초를 세우는 데 임상 작업치료사들에게 도움이 되었다. 이에 Lorreaine Pedretti는 작업치료를 학문적으로 지지기반을 세우고 작업치료의 전문성을 익힐 수 있는 토대가 되는데 많은 기여를 함에 있어서는 그 누구도 부정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본 8판의 내용은 작업치료 전문성에 대해 철학적인 배경을 두고 작업치료 임상실무에 있어 변화된 이론들을 반영하여 그 내용을 재구성하였고 근거기반의 실행과 최근 이슈가 되는 임상 분야를 강조한 [작업치료실행체계: 영역과 과정-3(OTPF-3)]에 구성으로 지침되었다. OTPF-3의 핵심은 작업치료의 목표는 클라이언트가 생활에 참여하는 작업에 초점을 둔다는 것이다. 평가 및 수행기술 그리고 형태의 전후 배경과 활동요건, 클라이언트의 요소와 중재 적용의 개념에 대해서도 상세하게 설명을 한 것이 특징이다.
최근 질환의 경향에 따른 사례연구를 작업치료에 적용하여 예비 작업치료사는 질환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고, 임상적 추론, 윤리적 질문과 관심 사항, 문화적인 요소를 포함시킨 것이 특징적이다. 또한 최근 작업치료에서 관심을 같게 되는 호스피스 및 완화치료를 49장에서 추가하여 작업치료 영역의 확대됨을 이론으로 증명을 한 것과 세션 2의 7장에서는 자신의 치료적 도구로 작업치료에서의 마음 챙기기가 새로 추가되어 성인의 심리적인 분야에서도 작업치료의 중요성을 보여 주었다. 작업치료에 대한 중요성과 개념을 근거기반의 클라이언트 중심의 작업치료에 대해 더 강조되었고 질환에 따른 사례연구를 작업치료에 적용하여, 다양한 질환을 이해할 수 있도록 각 장에 수록해 놓음으로써 새로운 임상에서는 치료기법과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리라고 생각한다. 또한 클라이언트에게 제공되어야 할 윤리적 사항과 문화적 요소 그리고 실무노트 등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도덕적 치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작업치료에 대한 열정을 가지고 8판까지 저술한 Lorreaine Pedretti 교수에게 경의를 표하며, 작업치료의 교육현장에서 많은 연구를 하시고 계신 교수님들 그리고 각기 다양한 분야에서 작업치료에 임하고 계신 임상 작업치료사 선생님들께 바쁘신 중에도 본 역서에 참여해 주신 것에 대해 지면으로나마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 번역하는데 있어서는 저자의 뜻에서 벗어나지 않으려고 최대한 노력하였으나 워낙 방대한 페이지 및 최근 신용어 통일의 부족으로 다소 미숙한 점이 있으리라 생각한다. 이러한 미숙한 오류에 대해서는 앞으로 독자들의 편달과 질책을 통해 수정해 나가고자 노력할 것을 다짐한다.
끝으로 본 역서가 작업치료를 사랑하는 후배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출판을 위해 작업치료에 대한 사랑과 열정이 넘치는 도서출판 한미의학 이광재대표님께 감사의 말씀을 드리며 예리한 눈으로 편집과 교정을 하여 좋은 책을 만들어주신 직원분들께도 역자를 대표하여 감사의 말씀을 드리며 한미의학의 끊임없는 발전을 기원한다.
수채화처럼 아름다운 가을 어느날
2018년 10월 역자를 대표하여 최 혜 숙
PART I 개요: 신체적 기능장애에 대한 작업치료 기초, 1
1. 작업치료실행체계와 신체장애인을 위한 작업치료, 1
작업치료실행체계 3판: 개요, 2
OTPF-3:설명, 4
작업치료 과정, 11
OTPF-3의 학습 전략, 16
OTPF-3:이 책에서의 활용, 16
2. 신체장애 작업치료의 역사와 임상의 변화, 19
작업치료의 근원, 19
확장과 특성화, 21
장애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 장애인 권익/자립생활 운동, 22
인본주의적이고 과학적인 처치의 제공: 전문 영역 내의 지속적인 논의, 23
현대의 임상: 재활모델의 의도하지 않은 결과, 25
PART II 작업치료 과정 및 실행, 29
3 작업치료실행체계의 신체 기능장애에 적용, 29
SECTION 1: 작업치료 과정, 30
작업치료 과정의 단계들, 30
중재 과정에서의 임상적 추론, 37
배경에서의 임상적 추론, 38
클라이언트 중심 치료, 39
이론, 실행모델, 이론의 틀, 40
작업치료 전문가들의 협력, 43
다른 전문가들과의 협력, 44
윤리학, 45
SECTION 2: 신체장애를 위한 중재 환경, 46
연속적인 건강관리체계, 47
새롭게 주목받는 치료: 원격의료, 55
4 작업치료를 위한 근거기반실행, 57
근거기반실행의 모델, 58
체계적 작업치료실행 모델, 58
5 신체적 장애를 가진 사람들에 대한 건강증진과 웰빙, 69
역사적인 영향과 고려, 70
건강증진 원리 및 실행, 73
건강증진과 질병예방에 관련된 작업치료, 75
건강증진과 작업참여, 77
이차적 상태와 장애인, 78
평가: 건강과 웰빙의 증진 강조하기, 79
중재, 80
6 장애의 개인적, 사회적 배경: 작업치료사의 영향, 83
클라이언트 중심의 자기 보고, 84
개인적 배경, 85
장애의 사회적 모델, 88
사회적 배경, 90
상호작용적 과정: 장애인과 환경, 99
7 작업치료에서의 교수활동, 107
SECTION 1: 작업치료에서의 교수전략, 108
왜 작업치료사는 가르치는가, 108
학습의 단계, 109
학습능력, 109
절차적 학습과 서술적 학습, 109
작업치료에서의 교수와 학습의 원리, 110
학습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115
SECTION 2: 자아의 치료적 사용: 작업치료에서 마음챙김의 구현, 116
자아의 치료적 사용, 117
자아의 치료적 사용의 발달에 대한 환경적 영향, 119
마음챙김과 자아의 치료적 사용의 향상, 120
서양의학, 건강관리, 사회에서의 마음챙김, 123
작업치료실행에서 마음챙김의 적용, 128
작업치료와 마음챙김의 통합, 130
지금 적용하기: 실습 설명, 131
8 작업치료 서비스의 문서화, 139
문서화의 목적, 140
최적의 실행, 140
임상적/전문적 추론 기술, 142
법적 책임, 143
초기평가, 144
중재 계획, 145
경과 보고서, 148
전자와 종이 기반 문서, 151
기밀과 문서, 157
9 임상에서의 안전 문제와 감염관리, 163
임상에서의 안전 권고사항, 164
특수 장비의 주의사항, 164
감염관리, 167
사고와 응급상황, 172
PART III 작업수행과 수행영역: 평가와 중재, 179
10 일상생활활동, 179
일상생활활동과 수단적 일상생활활동의 정의, 180
ADL과 IADL의 분석과 훈련에서 고려할 요인, 181
ADL과 IADL의 평가, 185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200
일상생활활동과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훈련, 222
특정한 일상생활활동과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기술, 224
11 이동성, 267
SECTION 1: 기능적 보행, 269
보행의 기초, 270
기능적 보행 활동, 273
SECTION 2: 휠체어 평가와 이동, 276
휠체어, 276
휠체어 평가, 276
휠체어 주문 시 고려사항, 277
임대 대 구입, 278
휠체어 선택, 278
휠체어 측정 과정, 282
아동용 휠체어, 284
대형 휠체어, 284
부가적인 좌석 및 자세 고려사항, 285
부속품, 286
타당한 이유/처방전 준비, 287
휠체어 안전, 287
이동 기술, 288
선 자세에서 축으로 돌기 이동, 291
미끄럼판 이동, 291
굽힌 자세에서 축으로 돌기 이동-침대에서 휠체어로, 292
보조 이동, 294
집 안에서의 이동, 299
자동차 이동, 300
SECTION 3: 수송, 지역사회 이동성 및 운전평가, 301
작업치료의 역할, 301
대중교통, 304
개인 교통, 307
승객으로서 여행하기, 309
보행자와 자전거 타는 사람, 312
운전, 314
운전에서의 임상 평가, 316
차량 내 평가, 321
다양한 장애에 대한 중재의 의미, 329
12 성생활과 신체장애, 335
성생활과 장애에 대한 반응, 337
가치관의 명백화, 339
성생활사, 340
성적학대, 341
신체 장애의 영향, 341
교육방법, 348
13 수면과 휴식, 351
작업치료에서 수면과 휴식의 역사, 352
작업치료에서 수면의 요구, 354
작업치료의 휴식의 필요성, 354
수면과 휴식 그리고 작업적 정의, 354
사회/문화적 영향에서 수면의 역사, 355
수면장애, 361
작업치료와 수면, 373
작업치료 평가, 374
수면과 휴식에 대한 작업치료 중재, 374
다양한 실행 환경에서의 작업치료 중재, 376
14 작업평가와 작업기능강화 프로그램, 383
작업기능강화 프로그램에서 작업치료 참여의 역사, 383
작업기능강화 프로그램에서 작업치료사의 역할, 387
산업재활, 387
기능적 역량평가, 387
직업평가, 389
직무요구 분석, 390
작업기능강화/작업신체능력향상, 392
작업장평가, 393
인간공학, 395
장애예방 프로그램, 408
직무적성검사, 415
학교에서 작업장으로 전환 서비스, 417
직업준비 프로그램, 418
작업활동 그룹, 419
지역사회기반 서비스, 419
향후 경향, 421
15 미국장애인법 그리고 일, 여가, 일상생활활동의 참여를 촉진하는 관련 법, 423
미국장애인법(ADA), 424
항공기 접근법, 447
공정주거개정법, 448
중재로서의 옹호, 449
16 여가 작업, 451
신체장애를 동반한 사람들을 위한 여가와 삶의 만족도, 452
여가 작업에서의 웃음과 놀이의 이점, 453
의미 있는 여가활동: 나이, 문화적 이슈, 성별, 454
여가 작업: 평가와 중재, 458
17 보조공학, 465
보조공학이란, 466
재활, 보조, 유니버설 공학, 466
작업 참여 시 보조공학의 역할, 467
사람 인터페이스 평가, 467
할 수 있게 만드는 전자공학 장비의 종류, 468
제어공학, 478
PART IV 평가와 중재: 수행요소, 489
18 수행기술: 작업치료실행체계에서 의미하는 정의와 평가, 489
지석연
최신 작업치료실행체계(OTPF-3), 489
19 운동조절 평가, 501
위운동신경세포와 아래운동신경세포체계, 505
클라이언트-중심 접근방식 중재, 505
운동조절에 대하여 표준화된 ADL 활동 평가, 506
근육긴장도, 507
비정상적인 근육긴장도, 508
근육긴장도 평가, 512
정상적인 자세역학, 515
협응, 519
비협응, 520
협응 평가, 522
작업치료 중재, 523
재활 로봇, 528
20 작업기반 기능운동평가, 531
이혜선
임상관찰, 532
작업기반 기능운동평가, 534
21 관절가동범위, 539
관절 측정, 540
움직임의 면과 축, 541
관절 측정의 원리와 진행, 542
촉진, 543
관절 측정방법, 544
각도계, 545
측정 기록, 546
중재계획을 위한 기초로서의 평가 결과, 547
수동관절가동범위 측정기록절차, 549
움직임 선별/움직임 선별검사, 550
180도 체계 관절 측정을 위한 특정지침, 553
22 근력의 평가, 577
근력, 578
근약화의 원인, 579
근력을 평가하는 방법, 579
도수근력검사의 원칙, 587
팔의 도수근력검사, 588
하지의 도수근력검사, 639
중재계획의 기초가 되는 평가의 결과, 647
23 감각평가와 감각 기능장애의 중재, 649
몸운동영역 배열, 651
신경가소성, 651
몸감각계통(체성감각계), 652
감각둔감화, 660
감각 재교육, 661
24 뇌손상으로 인한 시각손상의 평가와 치료, 665
일상생활 작업에서의 시각 역할, 666
뇌에서 시각처리 과정에 대한 간단한 개요, 666
평가와 중재 과정, 669
시각손상이 작업수행에 미치는 영향, 671
작업치료 평가 및 중재 과정, 672
특정 시각손상의 평가 및 치료, 675
25 지각 기능장애의 평가와 중재, 707
작업치료 평가의 일반적인 원리, 708
작업치료 중재의 일반적 접근, 709
특정한 지각손상에 대한 평가와 중재, 710
지각기능장애의 행동적 양상, 719
26 인지장애로 제한을 받는 작업수행의 평가와 치료, 721
인지와 작업치료, 722
작업치료 임상(실제)을 가이드하는 모델의 개관, 723
적절한 평가도구 선택하기, 726
작업수행을 제한하는 인지기능장애 관리: 평가와 중재, 730
27 먹기와 삼키기, 749
정상 삼킴 작용의 해부학과 생리학, 750
먹기와 삼키기 평가, 755
장치를 이용한 평가, 764
중재, 767
28 통증관리, 785
김수일
통증의 정의, 786
생체심리사회적 모형, 786
통증증후군, 787
평가, 789
치료적 중재, 791
PART V 작업치료과정: 중재의 실행, 795
29 치료적 작업과 도구, 795
작업치료 중재, 796
개인, 환경 및 중재 선택과 관련된 작업과의 관계, 797
작업치료 중재 유형, 797
작업 분석과 활동 분석, 798
직업과 활동의 등급화와 적응, 799
등급화(교정), 799
준비 과제 및 준비 방법, 803
준비 과제: 치료적 운동과 치료적 활동, 803
물리적 적용 방법, 811
기계 장치, 815
30 보조기, 817
SECTION 1: 손 보조기 제작: 원리, 실행, 결정하기, 818
작업치료사의 역할, 819
손의 해부학적 구조, 820
잡기와 쥐기 패턴, 827
손의 역학과 보조기 제작의 원리, 830
보조기 분류, 832
보조기를 언제 하고 언제 하지 않는가, 836
보조기 제작 과정, 837
SECTION 2: 팔 지지대, 848
소개 및 임상추론, 848
정적 팔 지지, 849
동적 팔 지지, 850
비용, 859
섹션 2에 대한 감사의 말, 860
31 중재를 위한 전형적인 감각운동 접근법, 861
개요, 862
움직임에 대한 중추신경계의 조절, 862
감각운동 중재 접근법과의 관계, 866
운동조절의 반사와 계층적 모델, 866
SECTION 1: 전형적인 감각운동 중재 접근법들, 867
Rood 접근법, 867
브룬스트롬(움직임 치료) 접근법, 868
고유수용성신경근육촉진 접근법, 868
신경발달치료 접근법, 869
SECTION 2: 고유수용성신경근육촉진 접근법, 869
역사, 870
중재의 원리, 870
운동학습, 872
평가, 874
중재계획수립, 875
SECTION 3: 신경발달치료 접근법, 888
신경발달치료 접근법의 역사적 배경, 888
Bobath의 개발 이론: 원 개념과 시대에 따른 진화, 889
작업 참여 회복을 위해 사용되는 신경발달치료, 890
신경발달치료와 근거기반 치료, 893
32 운동학습, 897
운동학습의 기초이론, 898
강제유도 운동치료, 899
로봇공학, 904
가상현실 공학, 905
PART VI 중재 적용, 907
33 뇌혈관사고(뇌졸중), 907
뇌졸중의 정의, 908
뇌졸중의 원인, 908
뇌졸중의 결과, 909
의학적 관리, 914
뇌졸중 생존자의 평가와 중재 절차, 914
중재를 위한 이론의 틀 적용, 919
뇌졸중 후 일반적으로 볼 수 있는 기능적 제한, 920
신경행동/인지-지각장애로 인한 작업수행 결여, 928
팔기능장애로 인한 과제수행의 결여, 931
시각장애로 인한 과제수행의 결여, 937
심리사회적 적응, 937
34 외상성뇌손상, 941
역학, 942
병리생리학, 943
혼수와 의식의 단계, 946
임상적 증상, 949
하위 RLA 단계에서 개인의 평가, 958
하위 RLA 단계에서 개인의 중재, 959
중간 이상의 RLA 단계에서 개인의 평가, 964
중·고위 이상의 RLA 단계에서 개인의 중재, 967
35 중추신경계 퇴행성 질환, 977
개요, 978
SECTION 1: 근위축측삭경화증, 980
병태생리학, 982
임상적 특징, 982
의학적 관리, 983
작업치료 평가와 중재, 983
작업치료사의 역할, 983
SECTION 2: 알츠하이머병, 986
발생률, 986
병태생리학, 987
임상적 특성, 988
의학적 관리, 988
작업치료사의 역할, 991
평가, 992
중재방법, 993
SECTION 3: 헌팅톤병, 994
발생률, 994
병태생리학, 994
임상적 특성, 994
의학적 관리, 996
작업치료사의 역할, 996
SECTION 4: 다발경화증, 999
발생률, 999
원인, 999
임상적 특성, 1000
의학적 관리, 1000
작업치료사의 역할, 1001
목표 설정과 중재, 1003
SECTION 5: 파킨슨병, 1004
발생률, 1004
병태생리학, 1005
임상적 특징, 1005
의학적 관리, 1007
작업치료사의 역할, 1008
36 척수손상, 1013
감사의 글, 1014
척수손상의 결과, 1014
임상증후군, 1016
회복에 대한 예후, 1017
척수손상 환자의 내·외과적 처치, 1017
척수손상 후 합병증, 1018
척수손상 재활, 1021
중재목표 설정, 1024
작업치료 중재, 1025
성기능, 1038
수면과 휴식, 1038
아동과 청소년의 척수손상, 1039
척수손상을 동반한 노화, 1039
연구, 1040
37 운동단위 질환, 1043
신경성 질환, 1045
말초신경병증, 1045
말초신경 손상, 1051
신경근질환들, 1055
신경근이음부의 질환: 중증근무력증, 1055
근육병증, 1057
근위축증, 1057
38 관절염, 1061
류마티스질환의 개요, 1062
뼈관절염, 1062
류마티스관절염, 1065
작업치료 평가, 1068
목표설정, 1075
중재 목표와 계획, 1076
작업치료 중재, 1076
작업수행 훈련, 1084
39 손과 팔손상, 1091
검사와 평가, 1093
중재, 1102
기능적 능력평가, 1125
사업장에 대한 협력자문, 1126
손손상의 정신사회적 영향, 1126
40 정형외과적 상태: 엉덩관절골절과 엉덩, 무릎과 어깨관절치환술, 1129
정형외과적 상태에 대한 소개, 1129
SECTION 1: 엉덩관절골절과 인공관절치환술, 1132
골절의 일반적인 의료관리, 1132
엉덩관절골절 형태와 의학적 관리, 1133
낙상 예방, 1135
엉덩관절치환술, 1135
엉덩관절골절이나 인공관절치환술 환자를 위한 작업치료의 역할, 1138
SECTION 2: 무릎관절치환술, 1144
원인과 의학적 관리, 1144
무릎관절치환술에 대한 특별한 고려사항, 1145
무릎관절치환술 클라이언트를 위한 작업치료의 역할, 1147
SECTION 3: 어깨관절치환술, 1150
원인 및 의학적 관리, 1150
어깨관절치환술에 대한 특별한 고려사항, 1152
어깨관절치환술 클라이언트를 위한 작업치료의 역할, 1153
41 요통, 1159
개요, 1160
요통의 일반적인 원인, 1160
작업치료 평가, 1163
작업치료 중재, 1164
클라이언트 중심 작업치료 분석, 1170
작업의 중재 전략, 1171
다학제 통증관리 구성원들, 1179
42 화상과 재활, 1181
화상의 유병률과 사망률, 1183
피부해부학, 1183
피부의 기능, 1184
화상의 기전과 화상의 깊이, 1185
총체표면적 손상 비율, 1185
손상의 정도, 1187
상처의 회복 단계, 1188
초기 의학적 관리, 1190
관련 문제들과 합병증, 1195
화상재활, 1197
작업치료 중재, 1201
화상과 관련된 합병증, 1214
43 절단과 의수족, 1221
SECTION 1: 팔절단의 일반적인 고려사항, 1222
절단의 원인과 발생률, 1222
절단의 분류, 1222
팀 접근 방법으로의 재활, 1223
수술적 관리, 1223
SECTION 2: 팔절단, 1223
의수 착용 전 훈련, 1224
의수 선택, 1229
의수체계의 유형, 1229
의수 착용 프로그램, 1237
중간 단계 의수 훈련, 1239
심화된 의수 훈련, 1242
양쪽 절단을 위한 고려사항, 1246
결과 측정, 1247
최근 연구와 기술 발달, 1247
SECTION 3: 다리절단, 1249
다리절단 위치, 1249
다리절단 원인, 1250
수술 후 잔여 팔다리 관리, 1250
의족 및 관련 장비, 1251
작업영역의 참여, 1252
클라이언트 요소, 1253
수행 기술, 1253
수행 패턴, 1254
심리사회적 영향, 1254
배경과 활동 요구, 1254
노인 클라이언트를 위한 부가적 고려사항, 1255
44 심폐질환, 1257
해부학과 순환, 1258
무엇이 심장을 수축하게 하는가, 1259
심장주기, 1259
허혈성심장병, 1259
판막질환, 1262
심장병을 일으키는 위험요인, 1262
의료적 관리, 1263
호흡기의 해부학과 생리학, 1267
호흡계의 신경분포, 1269
만성폐질환, 1269
폐질환을 유발하는 위험요인, 1270
의료적 관리, 1270
평가, 1272
중재, 1273
45 암과 종양 재활, 1277
암 및 종양학 재활에 대한 소개, 1278
치료 선택, 1278
주의점, 금기 및 의학적 복잡성, 1278
방사선과 영상, 1279
작업치료와 암: 영역과 과정, 1279
작업치료사가 종양학 재활에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평가, 1279
암과 암치료와 관련된 중요한 이차적인 조건, 1280
종양학에서 상태악화, 1283
심혈관 및 폐질환 고려사항, 1283
정신사회적 문제(신체 이미지, 우울, 불안), 1283
림프부종, 1284
완화치료 및 호스피스, 1284
46 노년층의 특수 요구, 1287
개요, 1288
건강과 생산적 노화, 1288
내 집에서 나이 들기, 1290
작업, 1291
노인에게 영향을 미치는 정책, 1297
사정과 중재, 1299
노화과정, 1301
정신 구조와 기능의 변화, 1302
감각 구조와 기능의 변화, 1306
신경근육뼈대계 및 움직임과 관련된 구조와 기능의 변화, 1308
심혈관계, 혈액계, 면역계, 호흡기계 구조 및 기능의 변화, 1309
목소리와 언어 기능: 소화·대사·내분비 기능, 비뇨생식 및 생식기능의 변화, 1310
피부 및 관련 구조기능의 변화, 1312
47 HIV 감염과 AIDS, 1315
HIV 감염의 발단과 현재 상태, 1316
감염 과정, 1318
전염, 1318
진단, 1319
약리학, 1320
노화와 HIV 감염, 1321
HIV/AIDS의 신경학적 후유증, 1322
신경병증(신경장애), 1323
치매, 1323
HIV/AIDS 병리학-클라이언트 요인, 1325
예방, 1326
평가, 1326
중재, 1330
48 다발성외상과 작업치료, 1333
다발성외상, 1334
49 호스피스 작업치료와 완화치료, 1345
호스피스와 완화치료, 1346
작업치료 서비스를 위한 근거기반, 1347
작업치료의 역할, 1348
임상의의 자기간호, 1364
찾아보기, 1367
상품문의가 없습니다.
등록된 상품이 없습니다.
주문하신 책과 다른 책이 잘못 배송되었거나 배송된 도서가 파본인 경우, 도서를 아래의 두가지 방법 중 하나를 선택하여 반송해 주시면 됩니다.
택배 또는 우편등기를 통한 반송 오발송이나 파본된 책에 대한 내용을 고객센터(033-745-8879)나 반품 및 교환 문의를 통해 알려 주시고,
오발송/파본 도서를 보내주시면 확인 후 택배 또는 우편으로 원래 주문하신 정상적인 책을 보내드립니다.
* 반송할 주소 : 강원도 원주시 판부면 매봉길 30-14 1층 의방서원
반송하실 때, 파본 도서의 경우 인쇄되지 않은 페이지나, 중복된 페이지, 찢어진 부분 등 구체적인 파본 부분을 포스트잇이나 메모지에 적어 표시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또한 주문번호를 같이 기재해 주시면 주문자 확인 등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환불이나 교환 등의 사후처리를 보다 빨리 할 수 있습니다.
물론, 반송비용과 재발송 비용은 본사에서 부담합니다.
책을 보내실 때 주문번호와 함께 환불해 드릴 계좌번호를 써서 보내주십시오.
의방서원 회원 약관 및 소비자 보호원 및 공정거래위원회 규정 표준 약관에 근거해 환불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다른 상품과 달리 도서는 상품 외형의 가치보다는 그 속에 담겨 있는 내용에 가치가 있는 것이기 때문에 반품가능 기간이 정해져 있습니다.
반품을 원하시는 도서는 받으신지 5일 이내에 등기우편을 통해 저희 회사로 보내주십시오.
단, 오발송이나 파본된 도서가 아닌 경우에는 배송 비용은 회원님께서 부담하셔야 합니다. 환불시 배송비용을 제외하고 난 후 송금해 드립니다.
이렇게 보내주신 책은 저희 반송 담당자의 확인을 거친 후 환불 처리되게 됩니다. 구체적인 반품 과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전화 033-745-8879 연락 후
반품/교환 문의를 통해 반품하실 도서명을 저희에게 알려 주신 후 등기우편으로 보내주시면 됩니다.
2. 반품하실 주소는 위의 반송 주소와 동일합니다.
3. 보내실 때 반품 도서의 주문번호와 환불해 드릴 계좌번호를 메모지에 적어 함께 넣어주시기 바랍니다.
이러한 메모가 있는 경우에 보다 신속하게 반품 처리가 될 수 있습니다.
무통장 입금계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