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1 포보주(蒲輔周): 동변(童便)으로 제반 혈증(血證)을 치료하였다 16
002 진원신(陳元新): 혈증(血證) 경험 의안 18
003 유병범(劉炳凡): “유씨삼탄(劉氏三炭)”으로 혈증(血證)을 치료하였다 24
004 강춘화(姜春華): 대황(大黃)으로 각혈(?血)을 치료하였다 24
005 서중재(徐仲才): 혈증(血證)을 치료할 때 부자(附子)를 꺼리지 않았다 26
006 유학수(柳學洙): 이탄일분(二炭一粉)으로 혈우병을 치료하였다 27
007 관유파(關幼波): 우피교(牛皮膠)로 혈소판 수치를 상승시켰다 28
008 정교(鄭僑): 우절지황탕(藕節地黃湯)으로 혈소판감소성 자반증(기뉵(肌?), 치뉵(齒?), 비뉵(鼻?))을 치료하였다 30
009 요경(耀卿): 양음회양탕(養陰回陽湯)으로 치설(齒舌) 출혈을 치료하였다 33
010 조소금(趙紹琴): 복사(伏邪)이론을 운용하여 백혈병을 치료하였다 35
011 진백미(秦伯未): 백혈병의 발열을 변증시치하였다 41
012 종유신(宗維新): 재생불량성 빈혈을 비신양허(脾腎陽虛) 위주로 치료하였다 45
013 진소생(陳蘇生): “토인교미(土忍翹薇)”로 호르몬제의 부작용을 길항시켰다
014 노지정(路志正): 중하초(中下焦)를 조치(調治)하여 직립성 단백뇨를 치료하였다
015 심봉각(沈鳳閣): 백색감소탕(白塞減消湯)을 만들어 베체트병을 치료하였다
016 곽사괴(郭士魁): 진성 적혈구증가증을 간경(肝經) 위주로 치료하였다
017 진백미(秦伯未): 일산화탄소 중독증을 치료하였다
018 유창휘(喩昌輝): 감담실비법(甘淡實脾法)으로 난치병을 치료하였다
019 장진하(張震夏): 지룡(地龍)을 범용하여 잡병을 치료하였다
020 홍철명(洪哲明): 공연단(控涎丹)을 범용하여 잡병을 치료하였다
021 유지명(劉志明): 기능성 수종(水腫)을 조보기혈법(調補氣血法)으로 치료하였다
022 조석무(趙錫武): 가미금강환(加味金剛丸)으로 중증근무력증을 치료하였다
023 하본서(賀本緖): 오래된 병을 대방(大方)으로 치료하였다
024 동덕무(董德懋): 오래된 병이 낫지 않을 때는 비(脾)를 치료하여 오장(五臟)을 안정시켰다
025 왕준민(王俊民): 마전자(馬錢子)로 위증(?證)을 치료하였다
026 주양춘(朱良春): 육신환(六神丸)으로 내과 급증(急症)을 치료하였다
027 축심여(祝諶予): 당귀육황탕(當歸六黃湯)으로 갑상선기능항진증을 치료하였다
028 유혜민(劉惠民): 탕약과 약주(藥酒)로 갑상선기능항진증을 치료하였다
029 축심여(祝諶予): 당뇨병을 4가지 유형으로 변증하였다. 고질병을 치료할 때는 반드시 소보(消補)해야 한다
030 관유파(關幼波): 자의방(自擬方)으로 당뇨병을 치료하였다
031 정교(鄭僑): 소갈방(消渴方)을 구성하여 소갈(消渴)을 치료하였다
032 장몽농(張夢?): 삼갑산(三甲散)으로 유행성 B형 뇌염을 치료하였다
033 조석무(趙錫武): 음한내결(陰寒內結)을 대황부자탕(大黃附子湯)으로 치료하였다
034 장계평(張階平): 주모보익방(珠母補益方)으로 심·간·신 삼경(三經)의 허손증(虛損證)을 치료하였다
035 악미중(岳美中): 대구(大灸)요법으로 허약증(虛弱證)을 치료하였다
036 양수천(楊樹千): 이기제습법(理氣除濕法)으로 단순성 비만을 치료하였다
037 이수산(李壽山): 통락활혈탕(通絡活血湯)을 구성하여 완고한 두통을 치료하였다
038 육장청(陸藏靑): 치편두통방(治偏頭痛方)을 구성하여 혈관신경성 두통을 치료하였다
039 유도주(劉渡舟): 5가지 유형의 편두통을 치료하였다
040 조금탁(趙金鐸): 해울화담법(解鬱化痰法)으로 혈관신경성 두통을 치료하였다
041 왕내영(王乃英): 해독산화탕(解毒散火湯)과 유편진통탕(愈偏鎭痛湯)을 구성하여 아통(牙痛), 편두통을 효과적으로 치료하였다
042 장자림(張子琳): 평간청훈탕(平肝淸暈湯)으로 현훈을 치료하였다
043 진백미(秦伯未): 위체(胃滯)에 주의하여 두통을 치료하였다
044 포보주(蒲輔周): 양화산(兩和散)으로 관상동맥경화증을 치료하였다
045 조석무(趙錫武): 선비통양법(宣痺通陽法)으로 관상동맥경화증을 치료하였다
046 조석무(趙錫武): 선산해독(宣散解毒)과 양음청열법(養陰淸熱法)으로 심근염을 치료하였다
047 조영강(趙永康): 건중행건탕(建中行健湯)으로 관상동맥경화증을 치료하였다
048 유소무(劉紹武): 조심탕(調心湯)으로 관상동맥경화증을 치료하였다
049 등철도(鄧鐵濤): 보허(補虛)를 위주로 협잡증(夾雜證)을 겸고(兼顧)하여 관상동맥경화증을 치료하였다
050 염설봉(?雪峰): 소함흉탕으로 심교통(心絞痛)을 치료하였다
051 악미중(岳美中): 심양(心陽)을 통(通)하게 하여 심교통(心絞痛)을 치료하였다
052 오성농(吳聖農): 흉비(胸痺)의 원인은 심신휴허(心腎虧虛)에 있고, 심통(心痛)의 치료는 온양익기(溫陽益氣)가 중요하다
053 형자형(邢子亨): 복신산(茯神散)으로 심장병을 치료하였다
054 초수덕(焦樹德): 심비(心痺)의 변증논치
055 장차공(章次公): 육신丸(六神丸)으로 강심(强心)시켰다
056 부종한(傅宗翰): 서맥(徐脈)의 진단과 치료에 관한 3가지 요점
057 조석무(趙錫武): 진무탕에 “치수삼법(治水三法)”을 배용(配用)하여 울혈성 심부전을 치료하였다
058 강양석(康良石): 폐심병(肺心病)을 치료하였다
059 곽사괴(郭士魁): 병태두방결종합징(病態竇房結綜合徵)(동기능부전증후군)을 치료하였다
060 곽사괴(郭士魁): 폐심병(肺心病) 급성 발작 감염기(感染期)를 치료하였다
061 이총보(李聰甫): 비위(脾胃)에 더욱 중점을 두어 흉비(胸痺)를 치료하였다
062 고조농(顧兆農): 쌍해사심탕(雙解瀉心湯)으로 흉비(胸痺)를 치료하였다
063 조척인(曹?寅): 통법(通法)으로 고혈압을 치료하였다
064 주양춘(朱良春): 익모강압탕(益母降壓湯)으로 고혈압을 치료하였다
065 도규선(屠揆先): 육미지황탕으로 고혈압을 치료하였다
066 시수도명(矢數道明): 방풍통성산으로 고혈압을 치료하였다
067 정교(鄭僑): 강압탕(降壓湯)으로 간양편항형(肝陽偏亢型) 고혈압을 치료하였다
068 이중수(李仲守): 고혈압의 증치삼법(證治三法), 양호삼법(養護三法)
069 하도형(夏度衡): 사미작약탕(四味芍藥湯)으로 삼차신경통을 치료하였다
070 노지정(路志正): 백맥안신음(百脈安神飮)으로 신경증을 치료하였다
071 손광시(孫匡時): 죽피대환(竹皮大丸)으로 억증(?症)(히스테리)을 치료하였다
072 장중원(張仲元): 조간화위법(調肝和胃法)으로 전광(癲狂)을 치료하였다
073 임하천(林夏泉): 제간산(除癎散)으로 전간(癲癎)을 치료하였다
074 임삼영(林森榮): 인삼과 오령지를 동용(同用)하여 위궤양을 치료하였다
075 축심여(祝諶予): 종유석방(鍾乳石方)으로 위궤양을 치료하였다
076 장차공(章次公): 봉황의(鳳凰衣)와 목호접(木蝴蝶)을 배오하여 위궤양을 치료하였다
077 장차공(章次公): 건중탕(健中湯)으로 위궤양을 치료하였다
078 장차공(章次公): 상아설(象牙屑), 시병상(?餠霜)으로 위궤양 출혈을 치료하였다
079 장차공(章次公): 독창적인 경험방으로 위장(胃腸)을 치료하였다
080 장갱매(張羹梅): 건비탕(健脾湯)으로 허한성(虛寒性) 위장궤양을 치료하였다
081 장갱매(張羹梅): 양위탕(養胃湯)으로 음허성(陰虛性) 위궤양과 위염을 치료하였다
082 장갱매(張羹梅): 위기병(胃氣病)을 논치하였다
083 장갱매(張羹梅): 경중(輕重)에 따라 3단계로 애기(?氣), 애역(?逆)을 치료하였다
084 장갱매(張羹梅): 대반하탕(大半夏湯)으로 불완전성 유문폐색을 치료하였다
085 초수덕(焦樹德): 삼합탕(三合湯)으로 위(胃)를 치료하였다
086 보옥여(步玉如): 백합탕(百合湯)으로 위완통을 치료하였다
087 동건화(董建華): 계열방약(系列方藥)으로 위통(胃痛)을 치료하였다
088 진후생(秦厚生): 삼습축음탕(?濕逐飮湯)으로 위완약동(胃脘躍動)(담계심동(痰悸心動))을 치료하였다
089 주양춘(朱良春): 황기와 아출을 배오하여 만성 위질환을 치료하였다
090 사해주(謝海州): 목향빈랑환으로 다양한 위장병을 치료하였다
091 사해주(謝海洲): 석류산(錫類散)을 내복(內服)하여 궤양성 대장염을 치료하였다
092 포보주(蒲輔周): 위기(胃氣)를 중심으로 외감내상(外感內傷)을 치료하였다
093 유혜민(劉惠民): 마전자분(粉)으로 위하수를 치료하였다
094 유소훈(劉紹勛): 견우자로 제반 실체(實滯)를 치료하였다
095 시수도명(矢數道明): 오적산으로 완고(頑固)한 구토를 치료하였다
096 장학능(張學能): 간(肝)을 위주로 완고한 애역(?逆)을 논치(論治)하였다
097 육석여(陸石如): 인진백지탕(茵陳白芷湯)으로 만성 대장염을 치료하였다
098 백연송(柏連松): 익기청해법(益氣淸解法)으로 급만성 궤양성 장염을 치료하였다
099 임하천(林夏泉): 이사탕(理瀉湯)으로 과민성 만성 대장염을 치료하였다
100 염선덕(?先德): 도화탕(桃花湯)으로 궤양성 대장염을 치료하였다
101 하임(何任): 완복견통탕(脘腹?痛湯)으로 다양한 복통(腹痛)을 치료하였다
102 위장춘(魏長春): 오매안위환(烏梅安胃丸)과 백밀(白蜜)로 흉복극통(胸腹劇痛)을 치료하였다
103 이극소(李克紹): 위통(胃痛)의 변증시치(辨證施治) 정요(精要)
104 왕정공(王正公): 청간탕(淸肝湯)으로 만성 지속성 간염을 치료하였다
105 진계명(陳繼明): 만성 간염에 소간법(疏肝法)이 효과가 없을 경우에는 비위(脾胃)의 승강(升降) 기능을 조절해야 한다
106 진백미(秦伯未): 만성 간염을 변증시치(辨證施治)하는 양대(兩大) 원칙
107 장요경(張耀卿): 간염 후 종합증에 대한 변증시치
108 여영오(余瀛鰲): 자수청간음(滋水淸肝飮)으로 간염협통(肝炎脇痛)을 치료하였다
109 왕승백(汪承柏): 양혈활혈법(凉血活血法)으로 중증 간염을 치료하였다
110 춘화(春華): 활혈보비법(活血補脾法)으로 간경화를 치료하였다
111 안덕형(顔德馨): 서각분(犀角粉)으로 장기간 전이효소의 수치가 내려가지 않는 것을 치료하였다
112 관유파(關幼波): 황달의 변증논치에 있어서 다섯 가지 핵심
113 유학수(柳學洙): 인패울람탕(茵佩鬱藍湯)으로 황달을 치료하였다
114 섭귤천(葉橘泉): 신선한 포공영으로 흑달(黑疸)을 치료하였다
115 시팽년(柴彭年): 양비호근탕(養脾護根湯)으로 오래된 설사를 치료하였다
116 진요당(陳耀堂): 유향과 몰약으로 완고한 복사(腹瀉)를 치료하였다
117 서경번(徐景藩): 오래된 설사를 치료할 때는 제형(劑型)을 중시해야 한다
118 임계학(任繼學): 간폐(肝肺)를 중심으로 오랫동안 설사가 그치지 않는 것을 치료하였다
119 이수산(李壽山): 오래된 설사를 치료할 때는 운법(運法)이 중요하다
120 진계명(陳繼明): 온윤승양법(溫潤升陽法)으로 오래된 설사를 치료하였다
121 정광적(丁光迪): 승양법(升陽法)으로 새벽 설사를 치료하였다
122 고비영(顧丕榮): 환장환(換腸丸)으로 대장염(간설(肝泄))을 치료하였다
123 강심경(江心鏡): 육계로 하리(下痢)를 치료하였다
124 엄창산(嚴蒼山): 이질산(痢疾散)으로 세균성 이질을 치료하였다
125 위용양(魏龍?): 백출로 변비를 치료하였다
126 동건화(董建華): 육종용, 당귀로 노인성 변비를 치료하였다
127 웅요생(熊寥笙): 단미(單味) 노회(蘆?)로 변비를 통하게 하였다
128 왕소화(王少華): 변비에 거듭 통하(通下)시켜도 효과가 없으면 색법(塞法)을 쓸 수 있다
129 포보주(蒲輔周): 결명자로 허비(虛秘)를 치료하였다
130 장택생(張澤生): 온병(溫病)의 치료는 보진법(保津法)을 위주로 하여야 한다
131 장차공(章次公): 감로소독단(甘露消毒丹)으로 습온(濕溫)을 치료하였다
132 허공암(許公岩): 습증(濕證)을 치료할 때 항상 마황, 창출을 썼다
133 시일인(時逸人): 열병(熱病)의 발진(發疹)을 치료하였다
134 노지정(路志正): 내습(內濕)으로 변증하여 기면증(嗜眠症)을 치료하였다
135 장몽농(張夢?): 먼저 탕약(湯藥)을 쓴 후 고제(膏劑)로 폐결핵을 치료하였다
136 장차공(章次公): 생(生)석고를 별도로 탄복(呑服)하여 대엽성 폐렴을 치료하였다
137 장자림(張子琳): 이중이진탕(理中二陳湯)으로 폐위(肺?)를 치료하였다
138 언경부(言庚孚): 해혈(咳血)의 5가지 핵심 치료 원칙
139 악미중(岳美中): 지해탕(止咳湯)으로 기관지염을 치료하였다
140 주양춘(朱良春): 해천합제(咳喘合劑)로 만성 기관지염의 급성 발작을 치료하였다
141 이제인(李濟仁): 복약 시간을 선택하여 만성 기관지염을 치료하였다
142 장차공(章次公): 기관지염을 치료하는 양대치법(兩大治法)
143 부재희(傅再希): 개규배담(開竅排痰)을 위주로 효증(哮證)을 치료하였다
144 최옥형(崔玉衡): 평효탕(平哮湯)으로 효천(哮喘)을 치료하였다
145 예평불(倪平佛): 택칠(澤漆)을 위주로 喘咳(喘咳)를 치료하였다
146 황문동(黃文東): 폐비(肺脾)를 동치(同治)하여 해천(咳喘)을 없앴다
147 동건화(董建華): 숙폐강기법(肅肺降氣法)으로 천증(喘證)을 치료하였다
148 잠학령(岑鶴齡): 보양법(補陽法)으로 노인성 기관지 효천(哮喘)을 치료하였다
149 강춘화(姜春華): 효천(哮喘)의 한출(汗出)에 마황을 기피하지 않았다
150 동수육(董漱六): 삼합마행고(參蛤麻杏膏)로 기관지 효천을 치료하였다
151 안덕형(顔德馨): 생(生)반하, 수질분(粉)으로 효천(哮喘)을 치료하였다
152 조석무(趙錫武): 한담음사(寒痰飮邪)에 기초력황탕(己椒?黃湯)을 썼다
153 악미중(岳美中): 옥미수(玉米鬚)로 만성 신염을 치료하였다
154 문순덕(門純德): 온양이수(溫陽利水)하는 세 처방으로 만성 신염을 치료하였다
155 유학수(柳學洙): 익모초, 백모근으로 급성 신염을 치료하였다
156 서숭년(徐嵩年): 온신해독탕(溫腎解毒湯)으로 요독증(尿毒症)을 치료하였다
157 호건화(胡建華): 진정안신(鎭靜安神)에 생지백합지모탕(生地百合知母湯)을 범용하였다
158 호건화(胡建華): 신해(新咳)와 노수(老嗽)를 지수신탕(止嗽神湯)으로 치료하였다
159 호건화(胡建華): 온양활혈법(溫陽活血法)으로 병독성(病毒性) 심근염을 치료하였다
160 송효지(宋孝志): 위비(胃?)의 치료 경험
161 송효지(宋孝志): 계명산(鷄鳴散)으로 완고한 심부전을 치료하였다
162 동건화(董建華): 온병(溫病) 초기에 투(透), 청(淸), 하법(下法)으로 치료하였다
163 동건화(董建華): 선창(宣暢)을 우선으로 가볍게 제승(制勝)하여 습열병(濕熱病)을 치료하였다.
164 왕정공(王正公): 마황, 지룡, 감초로 효천(哮喘)을 다스렸다
165 반징렴(潘澄濂): 익신지혈법(益腎止血法)으로 기관지확장증을 치료하였다.
166 이사치(李斯熾): 위하수(胃下垂)를 치료할 때 보중익기(補中益氣)만 고집해서는 안 된다
167 장해봉(張海峰): 궤양성 대장염에 대한 5가지 치료법
168 장경인(張鏡人): 만성 위축성 위염의 변증시치(辨證施治)
169 추운상(鄒雲翔): 간염을 치료할 때 청리제(淸利劑)를 신용(愼用)하였다
170 팽배초(彭培初): 중풍(中風) 중증(重證)을 변치(辨治)하였다
171 채감(蔡?): 비허(脾虛)로 청양(淸陽)이 불승(不升)한 것이 만성 설사의 근본 원인이다
172 섭경화(葉景華): 영신합제(寧神合劑)로 불면증을 치료하였다
173 채감(蔡?): 간비실조(肝脾失調)로 과민성 장증후군을 변치(辨治)하였다
174 황진교(黃振翹): 삼재봉수단(三才封髓丹)으로 골수이형성증후군을 치료하였다
175 임계유(任繼愈): 비제대황법(秘制大黃法)으로 만성 신부전을 치료하였다
176 두순복(杜順福): 4가지 원칙으로 편두통을 변치(辨治)하였다
177 진소생(陳蘇生): 침과 약을 병용(幷用)하여 배담(排痰)하는 방법으로 효천을 치료하였다
178 서지영(徐志瑛): 해천(咳喘)의 치료에 의이인을 우선시하였다
179 황길갱(黃吉?): 치담(治痰)에는 하기(下氣)가 우선이며, 표본(標本)을 알아야 올바른 치료를 할 수 있다
180 요배발(姚培發): 노년성 고혈압은 소간(疏肝), 양간(凉肝), 이혈(理血)해야 한다
181 소수영(蘇樹榮): 익기화어법(益氣化瘀法)으로 심방세동을 치료하였다
182 호건화(胡建華): 택사(澤瀉)를 중용(重用)하여 화담거음(化痰祛飮)하는 방법으로 현훈을 다스렸다
183 정문설(程門雪): 양화탕(陽和湯)으로 천증(喘證)을 치료하였다
184 정문설(程門雪): 계지탕, 귀비탕 등으로 위병(胃病)을 치료하였다
185 정문설(程門雪): 신(辛), 산(酸), 중진약(重鎭藥)으로 불면증을 치료하였다
186 유수농(劉樹農): 통법(通法)으로 불면증을 치료하였다
187 강춘화(姜春華): 반하로 불면증을 치료하였다
188 악미중(岳美中): 온담탕(溫膽湯)으로 불면증을 치료하였다
189 조금탁(趙金鐸): 불면증의 편방(便方) 3칙(則)
190 소용우(蕭龍友): 육일산(六一散)으로 서병(暑病)을 치료하였다
191 소용우(蕭龍友): 소엽총백죽(蘇葉?白粥)을 애용하여 풍한외감(風寒外感)을 치료하였다
192 왕봉춘(汪逢春): 대두황권(大豆黃卷)을 애용하여 습온(濕溫)을 치료하였다
193 시금묵(施今墨): 이중탕을 애용하여 비위병을 치료하였다
상품문의가 없습니다.
등록된 상품이 없습니다.
주문하신 책과 다른 책이 잘못 배송되었거나 배송된 도서가 파본인 경우, 도서를 아래의 두가지 방법 중 하나를 선택하여 반송해 주시면 됩니다.
택배 또는 우편등기를 통한 반송 오발송이나 파본된 책에 대한 내용을 고객센터(033-745-8879)나 반품 및 교환 문의를 통해 알려 주시고,
오발송/파본 도서를 보내주시면 확인 후 택배 또는 우편으로 원래 주문하신 정상적인 책을 보내드립니다.
* 반송할 주소 : 강원도 원주시 판부면 매봉길 30-14 1층 의방서원
반송하실 때, 파본 도서의 경우 인쇄되지 않은 페이지나, 중복된 페이지, 찢어진 부분 등 구체적인 파본 부분을 포스트잇이나 메모지에 적어 표시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또한 주문번호를 같이 기재해 주시면 주문자 확인 등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환불이나 교환 등의 사후처리를 보다 빨리 할 수 있습니다.
물론, 반송비용과 재발송 비용은 본사에서 부담합니다.
책을 보내실 때 주문번호와 함께 환불해 드릴 계좌번호를 써서 보내주십시오.
의방서원 회원 약관 및 소비자 보호원 및 공정거래위원회 규정 표준 약관에 근거해 환불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다른 상품과 달리 도서는 상품 외형의 가치보다는 그 속에 담겨 있는 내용에 가치가 있는 것이기 때문에 반품가능 기간이 정해져 있습니다.
반품을 원하시는 도서는 받으신지 5일 이내에 등기우편을 통해 저희 회사로 보내주십시오.
단, 오발송이나 파본된 도서가 아닌 경우에는 배송 비용은 회원님께서 부담하셔야 합니다. 환불시 배송비용을 제외하고 난 후 송금해 드립니다.
이렇게 보내주신 책은 저희 반송 담당자의 확인을 거친 후 환불 처리되게 됩니다. 구체적인 반품 과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전화 033-745-8879 연락 후
반품/교환 문의를 통해 반품하실 도서명을 저희에게 알려 주신 후 등기우편으로 보내주시면 됩니다.
2. 반품하실 주소는 위의 반송 주소와 동일합니다.
3. 보내실 때 반품 도서의 주문번호와 환불해 드릴 계좌번호를 메모지에 적어 함께 넣어주시기 바랍니다.
이러한 메모가 있는 경우에 보다 신속하게 반품 처리가 될 수 있습니다.
무통장 입금계좌